전체보기

    CI/CD와 형상관리

    CI/CD와 형상관리

    CI/CD CI ⇒ Continuous Intrgration (지속적 통합) CD ⇒ Continous Delivery (지속적 전달) CD ⇒ Continuous deployment (지속적 배포) Continuous Intrgration 개발자를 위한 자동화 프로세스인 지속적인 통합을 의미 개발코드를 통합할 때 문제점을 해결하고, 자동화시켜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방법 코드를 커밋만 치면 자동으로 빌드, 통합을 하고, 테스트를 하는 과정을 의미 Continous Delivery / Continuous Deployment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 / 지속적인 배포 어플리케이션을 항상 신뢰가능한 수준으로 배포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 CI가 이루어지고 난 후에 우영환경까지 배포를 수행하여, 실제 사용자가..

    Srping DB접근 기술(JDBC, JPA)

    Srping DB접근 기술(JDBC, JPA)

    스프링 DB 접근 기술 종류 JDBC JDBCTemplate JPA Spring Data JPA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 JDBC는 자바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접속할 수 잇도록 하는 자바 API이다. JDBC는 데이터 베이스에서 접근을 제공한다. DataSource는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획득할 때 사용하는 객체다. 기본적인 조회 @Override publicMember save(Member member) { String sql = "insert into member(name) values(?)"; Connection conn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null; ResultSet rs =null; try{ conn = getConnection..

    Spring 웹 애플리케이션 계층 구조

    Spring 웹 애플리케이션 계층 구조

    컨트롤러 : 웹 MVC 컨트롤러 역할로 명령을 입력 서비스 :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 리포지토리 :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도메인 객체를 DB에 저장하고 관리 도메인 : 비즈니스 도메인 객체로 예) 회원, 주문 등과 같은 것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 서비스의 메서드 작명은 최대한 비즈니스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 @Component 애노테이션이 있으면 스프링 Bean으로 자동 등록된다. @Controller 컨트롤러가 스프링 Bean으로 자동 등록된 이유도 컴포넌트 스캔 때문이다. @Component를 포함하는 다음 애노테이션도 스프링 Bean으로 자동 등록된다.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출처 : Inflearn - 김영한 강사님..

    Spring 제대로 알아보기.

    Spring 제대로 알아보기.

    이번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스프링을 처음 접하게 되었다. 프로젝트에 대한 경험도 처음이었고 스프링에 대해서도 처음이었다. 그렇게 점점 진행하면 할수록 프레임워크에 대한 이해도가 많이 부족하고 개발의 완성도와 사용하는 프레임워크에 대한 이해도는 비례하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그렇게 스프링으로 이미 배포까지 해보았지만 다시 처음부터 제대로 배우기로 결심했다. Spring Framework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 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스로서 간단히 스프링이라 불린다. 동적인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경량 컨테이너로서 자바 객체를 직접 관리한다. 각각의 객체 생성, 소멸과 같은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며 스프링..

    프로젝트 회고 [인프라 Infra]

    프로젝트 회고 [인프라 Infra]

    이번에 처음으로 연합동아리 UMC 1기에서 프로젝트로 'infra'를 진행하였다. 첫 프로젝트에서 기획자, PM의 역할을 맡아서 진행하게 되었는데 나는 기획자로 초기 기획을 하고 기획안을 디자이너들에게 선보이고 디자이너들을 매칭하고 그 다음 세부 기획을 한 다음 개발자들을 뽑았다. 서버개발자 5명, 안드 개발자 2명, 디자이너 1명 이렇게 총 8명의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내가 팀장이 되어서 누군가를 이끌어 보면서 개발을 진행하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느낀 점을 포스팅하려한다. 첫째, 계속 의심 하라. 이렇게 생각한 이유는 점점 코드를 짜면서 내가 짜는 코드와 우리 팀이 진행하는 토큰의 보안 방향이 이것이 맞는지 의심이 들었다. 그렇게 든 의심은 여러가지 자료를 찾아보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