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범
Just do debug
큐범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전체보기 (128)
    • 회고 (4)
    • JAVA (16)
      • JAVA 기초 (18)
      • JAVA Algorithm, Datastruct (13)
    • Spring (11)
    • Micro Service Architecture (3)
    • JPA (6)
    • gRPC (4)
    • Network (8)
    • Process (7)
    • Cloud (4)
    • Python (10)
    • Web(vue) (2)
    • UMC (1)
    • DB (9)
    • CS (1)
    • Clean Code (1)
    • TDD (9)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인기 글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큐범

Just do debug

Spring 웹 애플리케이션 계층 구조
Spring

Spring 웹 애플리케이션 계층 구조

2022. 5. 27. 00:03

컨트롤러 : 웹 MVC 컨트롤러 역할로 명령을 입력

서비스 :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

리포지토리 :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도메인 객체를 DB에 저장하고 관리

도메인 : 비즈니스 도메인 객체로 예) 회원, 주문 등과 같은 것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

서비스의 메서드 작명은 최대한 비즈니스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

@Component 애노테이션이 있으면 스프링 Bean으로 자동 등록된다.

@Controller 컨트롤러가 스프링 Bean으로 자동 등록된 이유도 컴포넌트 스캔 때문이다.

@Component를 포함하는 다음 애노테이션도 스프링 Bean으로 자동 등록된다.

  •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

 

출처 : Inflearn - 김영한 강사님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pring] 스프링 컨테이너와 빈
    • Srping DB접근 기술(JDBC, JPA)
    • Spring 제대로 알아보기.
    • [Spring] 공공데이터 포털 API 활용 - 날씨 조회
    큐범
    큐범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