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Network] HTTP 메서드 활용

    [Network] HTTP 메서드 활용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 전송 데이터 전달 방식은 크게 2가지이다. 1. 쿼리 파라미터를 통한 데이터 전송 GET, 정렬 필터로 주로 검색어에 사용된다. 2. 메시지 바디를 통한 데이터 전송 POST, PUT, PATCH 회원 가입, 상품 주문, 리소스 등록, 리소스 변경 4가지 상황 1. 정적 데이터 조회 이미지, 정적 텍스트 문서 2. 동적 데이터 조회 주로 검색, 게시판 목록에서 정렬 필터로 쓰인다. 3. HTML FORM을 통한 데이터 전송 회원 가입, 상품 주문, 데이터 변경에 쓰인다. 4. HTTP API를 통한 데이터 전송 회원가입, 상품 주문, 데이터 변경 서버 to 서버, 앱 클라이언트, 웹 클라이언트(Ajax) 정적 데이터 조회의 경우(쿼리 파라미터 미사용) 이미지, 정적 텍스트 문..

    [Network] HTTP(Stateful Stateless 차이, 비 연결성,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

    [Network] HTTP(Stateful Stateless 차이, 비 연결성,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역사 HTTP/0.9 1991년: GET 메서드만 지원, HTTP 헤더X HTTP/1.0 1996년: 메서드, 헤더 추가 HTTP/1.1 1997년: 가장 많이 사용,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버전 RFC2068 (1997) -> RFC2616 (1999) -> RFC7230~7235 (2014) HTTP/2 2015년: 성능 개선 HTTP/3 진행중: TCP 대신에 UDP 사용, 성능 개선 - 기반 프로토콜 TCP: HTTP/1.1, HTTP/2 UDP: HTTP/3 현재 HTTP/1.1 주로 사용 - HTTP/2, HTTP/3 도 점점 증가 - HTTP 특징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를 갖는다. 무상태(Stateless) 프로토콜, 비연결성 -..

    methods 와 computed 의 차이

    두개의 차이 점은 캐싱(casing)이다. vue.js 공식 홈페이지에 있는 예제를 보면 뒤집힌 메시지: "{{ reversedMessage() }}" reversedMessage()를 통해서 뒤집힌 메세지를 출력하고 있다. 이를 methods형식으로 구현할 경우, methods: { reversedMessage: function () { return this.message.split('').reverse().join('') } } 이를 computed로 구현할 경우, computed: { reversedMessage: function () { return this.message.split('').reverse().join('') } } 두 코드 모두 구조가 비슷하지만 method는 랜더링을 할때마다 항..